[논문 팁] 논문을 처음 본다면 참고하기 좋은 것
논문 읽는 법 정리
배경지식
- 컨퍼런스 논문은 보통 분량이 제한되어 있고, 저널에 투고된 논문이라도 너무 기초적인 것까지는 언급하지 않는다.
-
예를 들어 딥러닝에서의 convolution과 같은 경우 그 자체를 설명해주지 않는다.
- 기초적인 내용은 인터넷, 서적 등 따로 찾아볼 것!
-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되, 한글이 아닌 영어로 된 표현을 익힐 것
정리
- 기초적인 지식은 논문 보다는 인터넷, 책을 통해 습득한다.
- 사용되는 기술들의 영어 표현에 익숙해져야 한다.
- 읽으려는 분야에 대해 base가 되는 논문, 방법들을 알아둔다.
논문 선정
- 읽고 싶은 분야에 대해 검색을 제대로 할 줄 알아야 한다.
- 단순 구글 검색 창에 검색하지 말고, 구글 학습 검색을 통해 키워드로 검색한다.
- 논문은 저널 논문 과 컨퍼런스 논문 으로 구분되어 있다.
- 탑티어 컨퍼런스에 있는 논문을 많이 읽어라
- 저널은 impact factor가 높은 걸로 선택해라. 높을수록 공신력이 있는 저널이다.
- 보통 3 이상이면 읽을만한 수준이다.
- 피인용 횟수가 많은 논문을 보아라. (구글에 논문을 검색하면 확인 가능)
- 유명한 저자의 논문을 읽기.
Abstract & introduction
- 논문의 기술을 요약한 부분 (전체 내용을 축약함)
- 즉, 본 논문이 어떠한 문제를 풀려고 하는지, 대략적으로 어떻게 푸는지에 대해 설명을 해놓은 부분이다.
- introduction은 abstract를 좀 더 자세히 표현한 섹션이다. 이 부분만 잘 읽고 이해해도 논문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.
introduction
- 기존 방법들 소개
- 기존 방법들 또는 현 방법들의 문제 제기
- 제안하는 방법 간략히 소개
- 기존 방법들과 비교
Related work
- 기존 방법들을 소개하는 섹션
- 기존의 기술을 나열하고, 마지막 부분에서 제안하는 기술과 다른 점을 설명한다.
- 보통 이 섹션은 전체를 읽기보다 마지막 부분만 읽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.
Proposed method
-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섹션으로 **논문의 핵심 **부분 이다.
- 어떤 것을 제안했는지, 또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섹션이다.
***<정리>***정리>
- Proposed method 부분은 논문의 핵심이며, 제안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섹션이다.
- 보통 수식이 존재하면 이 섹션에 존재한다.
-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그림이 있다면, 그림만 잘 이해해도 제안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.
Results
- 어떻게 실험했는지, 결과가 어떠한지 알려주는 섹션
- 논문 방법을 이해할 땐 결과 수치 보다는 기존 방법과 어떻게 비교했는지가 중요하다.
Conclusion
- 현재까지의 논문을 요약하고 논문의 contribution을 설명한다.
- 추가로 future work를 설명하는 부분도 있다.
추가 꿀팁
- 최신 논문은 영어로 된 논문을 읽기
- 논문이 이해가 안 갈땐 github에서 코드 분석하기
- 논문을 읽고 대략적이라도 정리 해두기
- 유명한 논문은 읽기 전에 정리된 글을 먼저 보기
참고자료
[논문 읽는 법] 대학원생이 직접! 알려주는 딥러닝 논문 읽는 꿀팁 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ahH9kXWNHG4
댓글남기기